2023년 6월 12일 오후 8시 00분
나 역시 어렸을 때부터 미술에 두각을 나타냈고, 모순적이지만 예술가로 키워지기 위해 일찍이 미친 듯한 경쟁에서 버티는 법을 배우고, 실패를 배우고, 좌절을 배우고, 경쟁에서 이기는 법을 배운것 같다.이렇게 말하니, 마치 내가 입시 미술의 폐해 그 자체처럼 느껴지겠지만 그렇게 해야 내가 사랑하는 그림을 잘할 수 있다고 하니 그렇게 했다.
1.<PUNE>, oil on canvas, 72.7(H)x90.9cm,2022.6 작업과정
2.<1200km>, 타피스트리, 158(H)x117cm ,2022. 작업과정
지금 생각해 보면 나는 한국 입시에 잘 맞는 청소년이었다. 독한 아이로 평가받는 것을 은근히 즐기는 얄미운 구석이 있었다. 더욱더 이를 악물었다. 내 그림이 최고여야 했고 평가자들의 피드백은 항상 내 욕심을 채워주었다.
<PUNE>, oil on canvas, 72.7(H)x90.9cm, 2022.
어떤 구도와 어떤 색을 써야 할지, 어떻게 마무리를 지어야 완성도가 높아지는지 알기 위해 선생님들의 예시작, 선배들의 대표 합격작에서 드러나는 입시적 모범이 내 것이 될 때까지 베껴 그렸다. 그럼으로 나는 어떤 작품이 평가에 강한 그림인지 알게 되었다. 정답을 외웠다.
독기와 자만을 먹고 자란 자부심은 대학에 입학해 크게 부러졌다. 학부에 입학하니 그저 정답을 구사하던 나는 그동안 예술적 사고, 시선, 감각은 하나도 키워지지 않았다는 것을 알았다. 특히 섬유예술은 섬세한 감각과 창의성이 중요했다. “잘 그릴 줄만 알았던” 나는 할 수 있는 것이 하나도 없었다.
염색 작업 과정
더 이상 누구보다 잘 그리는 것은 아무 의미가 없다는 생각이 들었다. 독하게 이를 악물고 연습에 모든 것을 쏟아붓는, 어쩌면 단순한 방법으로 구축된 내 세계를 부정했던 첫 순간이었다.
어떤 해방감이 들기도 했던 것 같다. 잘 그리는 것이 더 이상 중요해지지 않으니, 그러니까 남이 보기에 잘 그리는 것, 정답이 더 이상 중요해지지 않으니 내 내면에 들어있는 예술이 될 수 있는 것들에 관심이 생기기 시작했다.
<Rainy Day>, 면천에 염색, 91(H)x147cm, 2022
1학년, 혼란의 시기를 잘 견뎌냈던 이유는 무작정 그리고 싶은 것들을 화면에 쏟아냈다. 작업하는 행위를 피하지 않고 사고하는 방법, 세상을 보는 방법을 학교생활과 수업을 통해 배워갔다.
교수님의 무지막지한 혹평도 견뎌보고 예술 병도 걸려봤던 지나간 학부 생활을 돌아보니 가장 중요한 것은 어찌되었건 부러지지 않는 것이었던 것 같다. 작업을 사랑하니 그럴 수 있었다. 작업을 풍성히 즐겼던 경험이 학부를 졸업한 현재, 명확한 기반이 되었다는것을 느낄 수 있다.
detail cut
4학년 졸업 전시가 끝나고 취업과 계속 작업 사이에서 고민했다. 그러다 조금은 무모하고 불안하지만 “한번 맛을 봤으면 끝장을 봐야지”라는 생각으로, 먼 훗날 인생을 돌아볼 때 내 작품들이 내 인생을 대변하고 있다면 흐뭇할것 같아 그 길로 가기로 했다. 비로소 결정하고 작업하는 전희주다.
내 작품과 노트에 잠시 눈을 멈추시고 시간을 써주시는 분들의 이해를 돕기 위해 첫 번째 노트는 내 작업의 기반이 되었던 시간을 몇문단으로 서술해 봤다. 끝까지 읽어주심에 감사드린다.
글 전희주 / 편집 이지호
전희주 작가의 페이지로 가기
전희주 작가의 다른 노트
COMING SO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