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예술가
home
NEXTPROJECT
home

정윤아

정윤아/앉아 있는 사람/acrylic on canvas
정윤아/떠난 곳/acrylic on canvas
얼룩, 물 자국, 말라붙은 흔적들
우연한 형상을 포착하거나 대상이 정해져 있지 않은 랜덤한 드로잉을 합니다. 이후 유사한 이미지 검색 엔진을 이용하여 이들과 유사한 이미지 게시물들을 찾아냅니다. 알고리즘은 개연성이 전혀 없는 다수의 정보들 각자가 원 형상과 유사한 이유를 설명합니다. 나열된 사진 중 몇 장을 선정하여 원래의 형상과 동시에 배치시킵니다. 이 과정에서 화면 안, 또다른 사건들의 연속이 생기게 됩니다. 이 방식을 통해 작가는 다시 처음으로 돌아가 “그리고자 하는 것은 무엇인가” 질문하게 됩니다. 우연히 충돌된 유사한 이미지 사이의 사건을 마무리 짓고 완성 이후, 비로소 작품의 제목을 지으며 작품이 완성됩니다.
공동의 뇌
직접 어떠한 장소에 방문하거나 이야기를 듣는 것보다 미리 도착할 곳의 리뷰를 보거나 겪은 사람들의 후기를 찾아보는게 익숙합니다. 휴대폰의 갤러리에는 언제, 무슨 이유로 저장했는지 모를 캡쳐본들이 쌓여 있습니다. 캡쳐된 이미지 중에는 그 당시 가야할 곳의 풍경을 미리 보여주는 타인의 사진이나 먹어보려는 음식의 맛을 표현한 댓글들이 있습니다. 이는 목적지를 정하고 레시피를 알려줍니다. 웹 게시물로 업로드되는 이미지 정보는 모두가 볼 수 있도록 열려 있습니다. 알 필요도 없는 겪어보지도 못할 사건과 감정들도 그러한 게시물을 통해 전달되고 이는 이미지로 뇌리에 각인됩니다. 개개인의 경험과 사건이 공유되어 마치 공동의 뇌를 가지고 있는 듯한 느낌을 받으며 이미지 자료를 수집하고 있습니다.
손 때가 탄 재료를 사용하는 것을 좋아합니다. 직접 꿰매고 뜯고 오리는 “손을 쓰는” 작업과정은 순간적으로 복사-저장해버릴 수 있는 이미지 캡쳐의 방식과는 대비되는 시간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제작 과정이 한 눈으로 보이도록 작업하는 이유 또한 그 제작의 시간성이 웹 이미지를 다룰 때의 짧은 속도감과 비교되게끔 하기 위한 의도입니다. 평면작업을 할 때는 직접 이미지와 어울리는 생광목천을 따로 구매하여 캔버스 제작을 합니다. 타카심이 옆면에 노출되거나, 천 올의 마감이 고르지 않게 합니다. 밑 바탕 칠 또한 지층처럼 옆면에 그 순서가 보이게끔 합니다. 최근에는 나염의 방식을 쓰거나 의도적으로 손상을 주고 있습니다. 이는 우연한 회화의 속성을 두드러지게 끔 하여 이를 유사한 이미지 검색엔진에 첨부하기 위한 형상으로 삼고 있습니다. 불분명한 회화의 형상이 구체적인 이미지 정보와 만나 다른 차원으로 점프되는 이 독특한 사건의 기록을 한 화면에 만들어내는 것에 집중하고 있습니다.
ONLINE EXHIBITION